main 함수 구조

 

위의 사진처럼 int부터 (void)까지를 함수의 원형 머리라고 부르고 {}으로 되있는 부분을 몸통이라고 부른다.

함수의 몸통에는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코드를 작성하는 공간이다. C언어는 main함수로 시작해서 끝이 나기 때문에 main 함수는 하나만 존재할 수 있다.

C언어는 ';'로 문장을 구분하기 때문에 한 문장이 끝나면 무족건 ';'을 붙여줘야 오류가 발생하지 않는다.

출력 함수(printf)의 사용법

printf함수는 문자열을 출력하는 C언어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함수이다. 이 함수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#include <stdio.h>를 맨 위에 작성해줘야 사용할 수 있다.

#include <stdio.h>

int main(void) {
	printf("Be Happy");
    printf("My friend");
    
    return 0;
}

 

 

위의 사진은 코드의 결과 물이다. printf함수를 두개 사용해 출력했는데도 문장 두개가 이어서 출력된 것을 볼 수 있다. 줄바꿈 같은 기능을 사용하고 싶으면 제어문자라는 것을 사용해야 한다. 아래는 C언어에서 사용하는 제어문자 표이다.

\n 줄바꿈
\t 다음 탭까지 띄어 줌
\b 커서를 뒤로 이동시킴
\r 커서를 처음으로 옮김
\a 알람

 

printf 함수를 이용해 숫자를 출력하고 싶을 때는 변환문자를 사용해야 한다. 아래 표는 변환 문자의 종류이다.

%d 정수 출력
%lf 실수 출력
%c 문자 출력
%s 문자열 출력
%le 실수를 정규화해서 출력

 

정수 상수 표현법

C언어는 정수를 표현하는 방법이 10진수, 8진수, 16진수가 있다.

0 ~ 15까지의 숫자를 다음 세 가지 진법으로 나타내면

10진수: 0, 1, 2, 3, 4 ~ 15

8진수 : 0, 1, 2, 3 ~ 7, 10, 11, ~ 17

16진수 : 0 ~ 9, a, b, c ~ f

이렇게 표현된다.

8진수를 표현할 때는 앞에 '0'을 붙여주고, 16진수는 앞에 '0x'를 붙여서 표현한다.

 

문자와 문자열

C언어는 문자와 문자열이 존재하는 데 문자는 작은따옴표로 문자열은 큰따옴표로 작성한다.

문자와 문자열을 출력하는 변환 문자는 %c는 문자, %s는 문자열이다.

 

숙제 및 추가 숙제

기본 숙제

 

추가 숙제

 

+ Recent posts